Hobbies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1장 서론

Fig.1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1장 서론 메모

  1. 정치이론은 평등의 해석에 따라 구분된다.

고전적인 정치이론의 구분법은 궁극적인 가치를 평등 또는 자유에 두는지에 따라 좌-우파를 나누었으나, 현대에는 소득, 부, 권리 등 가치에 대한 평등의 해석으로 정치 이론이 구분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현대 정치이론의 궁극적 가치를 하나로 두기 위해서 평등의 해석으로 나눈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각각의 정치철학마다 궁극적 가치가 다 다르다는 설명보다, 이 정치철학은 권리의 평등을, 이 정치철학은 소득의 평등을, 이 정치철학은 성별의 평등을 추구한다고 설명하는게 더 간결하고 명료하게 설명하기 때문인 것 같다.

  1. 정치철학과 도덕철학의 관계

도덕철학은 정치철학의 배경을 마련하고 그 경계를 정한다. 이는 국가의 강제력이 가지는 정당성의 근원이다.

정치철학의 목적은, 도덕적 믿음들이 취하는 견해의 옳음을 평가하기 위해 각 정의 이론들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도덕철학과 정치철학의 관계는 과학과 공학의 관계와 유사해 보인다. 과학이 현상을 모사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공학이 활용하듯이, 도덕철학의 정의원칙을 정치철학이 활용하는것처럼 보인다.

다만 도덕의 제1원리가 있을지, 개인의 도덕을 사회에도 적용할 수 있을지는 마저 공부해봐야 알 것 같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