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c

논리학입문 제4장 오류

Fig.1 Book cover

이번 단원에서는 오류, 즉 부정확한 논증의 유형, 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논증에는 다양한 실수가 있다. 명제의 역이 성립하지 않는다던가, 등의 수학에서도 다루는 오류도 있지만 실생활에서의 언어로부터 비롯된 오류도 있다. 이를 각각 형식적 오류와 비형식적 오류라고 하는데, 이 단원에서는 비형식적 오류에 대해 다룬다.

오류의 분류

이 단원에서 다루는 비형식적 오류는 우리가 어느 정도는 알고 있는, 훈제 청어, 허수아비 논증, 권위에 의거한 논증, … 등이 있다. 이를 이 책에서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한다. 각각 유관성의 오류들, 불충분한 귀납의 오류들, 가정의 오류들, 애매성의 오류들이다.

Fig.2 Fallacies

유관성의 오류

유관성의 오류Fallacies of relevance는 논증의 전제와 결론에 실질적인 관계가 없는 경우이다. 하지만 어떻게 우리가 그런 오류에 빠질 수 있을까? 이는 전제가 심리적으로 관계가 있어서 논리적으로 관계가 없어도 그런 마음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애국심에 의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일곱 가지 유관성의 오류를 나열한다.

Fig.3 Fallacies of relevance

군중에 의거한 논증

군중에 의거한 논증Argumentum ad populum은 일반 대중의 감정을 불러일으킴으로서 어떤 결론에 대한 대중의 승인을 얻으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예시를 든, 애국심을 바탕으로 하여 군중의 감정을 자극하는 등의 예시가 있을 수 있다.

Fig.4 Historical example of argumentum ad populum

단순히 대중이 호응한다는 이유만으로 그 논증이 옳다고 판단하는 것 또한 군중에 의거한 오류이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대중 매체나 광고, 주변인 등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은연 중의 암시로부터 감정적 영향을 받아 생기는 오류로는 군중 심리나 동조 압력 등의 예시가 있다. 밴드웨건 오류Bandwagon fallacy라고도 불린다.

Fig.5 Lemming train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얼마 전 교리 공부 중 누군가가 말하길 “성서의 기적은 그 기록뿐만이 아닌, 다양한 사람의 증언으로부터 증명되었다. 또한 기독교의 정당함은 수많은 순교자들이 순교한 것으로부터도 증명된다. 그 모든 사람들이 바보일 리는 없으니 그 사람들이 믿는 신념은 어느 정도 옳다”는 주장을 하였는데, 이 또한 군중의 의거한 논증이라고도 할 수 있다.

감정에 의거한 논증

감정에 의거한 논증Argumentum ad misericordiam은 연민의 감정에 호소하여 결론을 정당화하는 논증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범죄자의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너그러운 처벌이 정당화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정확히 알아야 하는 것은, 정당방위 등의 정당한 원인이 아닌, 단순히 자비로운 마음에 호소하는 것이 되는 경우라면 오류가 된다. 대표적으로, “레 미제라블”의 장발장의 절도 범죄를 그의 굶주린 가족을 먹이기 위한 어쩔 수 없는 행위였다고 옹호하는 경우가 있겠다.

Fig.6 Jean Valjean

책에서 제시한 또 다른 예시로는 의료 과실이 있다. 하버드 공중보건대학이 실증적으로 보여준 바로는, 의사들이 의료 과실로 고소를 당했을 때 승소한 원고에게 지불할 금전적 보상의 크기는, 그 의사의 실제 과실 여부보다는 피고가 겪은 장애의 성격에 더 크게 좌우된다는 것을 보였다.

연민 외에도 다양한 감정에 의한 오류가 있다. 선망에 의거한 논증Argumentum ad invidiam, 공포에 의거한 논증Argumentum ad metum, 증오에 의거한 논증Argumentum ad odium, 긍지에 의거한 논증Argumentum ad superbium 등이 그렇다.

훈제 청어

훈제 청어Red herring은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게 하는 주의 전환의 오류이다. 본 책에서 든 예시로는, 상장 예정 회사의 투자 설명서에 회사에 관한 내용은 장황하게 설명하면서 주가에 관해서는 아무런 설명이 없는 것을 훈제 청어의 한 예시로 들 수 있다.

Fig.7 Red herring

논의의 주제와 상관이 있는 듯 하면서 실질적으로는 관계가 없는 주장으로 논점을 흐리고 원하는 방향으로 결론을 이끄는 것을 훈제 청어라고 할 수 있겠다.

허수아비 논증

허수아비 논증은 대면하고 있는 실제 사람의 주장보다, 그 사람의 주장과 유사하되 더 반박하기 쉬운 논증을 반박하여 상대의 논증을 반박하는 것 처럼 보이는 오류이다. 실제 예시로는 상대의 주장보다 극단적인 예시를 들고 오는 경우가 있다. 정부의 권한을 늘리자고 하는 주장에 대해서는 빅 브라더의 예시를 들면서 반대하는 경우나, 정부의 권한을 줄이자고 하는 주장에 대해서는 무정부주의자라며 반대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사람에 의거한 논증

사람에 의거한 논증Argumentum ad hominem은 논증 그 자체가 아닌 주장하는 사람을 향한다. 이는 욕설적 논증과 정황적 논증으로 나눌 수 있다.

욕설적 논증은 주장을 펴는 상대에 대한 험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차별철폐 조치를 반대하는 사람을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있다.

정황적 논증은 상대가 처한 상황과 정황을 근거로 어떤 주장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정당의 지지인은 그 정당의 모든 안건에 대해 찬성해야만 한다’의 예시가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사냥꾼이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동물을 사냥하는 것을 비판하자, 비판하는 사람에게 ‘당신도 육식을 하는 사람이지 않느냐’고 하는 경우가 있겠다. 건강하게 살기 위해 육식을 하는 것과 즐거움을 위해 사냥을 하는 것은 서로 다른 것이기 때문에, 이 경우는 오류라고 할 수 있겠다.

정황적 논증의 또 다른 예로는 피장파장의 오류tu quoque가 있다. 흔한 예시로, 교통법규를 위반한 사람을 검거하면 검거한 사람에게도 ‘당신도 위반할 때가 있지 않느냐’ 하는 예시가 있다.

정황적 논증의 또 다른 예로는 우물에 독 넣기poisoning the well가 있다. 이는 어떤 주장에 대해 반론을 막는 오류인데, 예를 들면 ‘A 부류의 사람들은 믿을 수 없다’는 예시가 있다.

힘에 의거한 논증

힘에 의거한 논증Argumentum ad baculum은 말 그대로 힘, 돈, 권력, 정치적 위치 등을 이용해 주장하는 오류이다. 예를 들면, ‘우리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파업하겠다’ 거나, ‘우리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임금을 동결하겠다’ 등이 있겠다.

논점 일탈의 오류

논점 일탈의 오류ignoratio elenchi는 논증을 반박하는 과정에서 실제로는 다른 주제에 대해 반박하는 오류이다. 이러한 오류는 주장을 잘못 이해했거나, 의도적으로 논점을 흐릴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재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든다.

예를 들면 상속세 폐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폐지를 찬성하는 측은 이미 수익을 벌어들일 때 소득세로 과세된 돈에 대해서 상속할 때 다시 한번 과세를 하는 것이니, 이중 과세라는 지적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상속세 폐지를 반대하는 측은, 상속세는 매우 큰 규모의 돈에 대해서만 과세된다는 주장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이중과세에 대한 반박이 아닌 과세되는 돈의 규모에 관한 주장을 하는 것이니 논점 일탈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훈제 청어와 논점 일탈의 오류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훈제 청어도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주의 전환의 오류인데 말이다. 교재에서는, 어떤 의미에서는 모든 유관성의 오류는 논점 일탈의 오류라고 볼 수 있다고 한다. 훈제 청어도, 허수아비 논증도, 사람에 의거한 논증도 결국 모두 다루는 주제에서 벗어나서 다른 주제에 대해 논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논점 일탈의 오류는 복합적인 오류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말로, 불합리한 추론non sequitur라는 말도 있다. 이 경우는 전제와 결론의 간격이 너무 넓어 논증이 실패한 경우를 일컫는다.

불충분한 귀납의 오류들

불충분한 귀납의 오류Fallacies of defective induction는 전제와 결론 사이의 관계가 있으면서도 불충분하거나 잘못된 논증에 대해 다룬다. 앞서 다룬 유관성의 오류의 경우 전제와 결론 사이의 관계가 없다는 특징이 있었으나, 이 불충분한 귀납의 오류의 경우는 전제가 결론의 타당한 근거가 되지 못하는 경우이다.

Fig.8 Fallacies of defective induction

무지에 의거한 논증

무지에 의거한 논증argumentum ad ignorantiam은, 어떤 명제가 거짓 또는 참이라는 것이 증명되지 않았다고 해서 그 명제를 참 또는 거짓이라고 주장하는 오류이다.

대표적으로 신의 존재에 관한 주장이 있다.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무신론자들에 대한 반박으로,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완벽하게 증명되지 않았으니 신은 존재한다는 주장이 있다. 이는 그 역 또한 가능하다.

무지에 의거한 오류는 새로운 과학 기술이 발전할 때 주로 나타난다.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을 때 알 수 없는 유해성에 의해 그 도입을 반대하는 경우이다. 물론 맞는 말이나, 안전성 검사 방법, 예를 들어 식품의 경우 FDA 승인 등, 의 방법이 있고 그로 인해 증명되었음에도 반대하는 것은 무지에 의거한 오류라고 할 수 있다.

Fig.9 Presumption of innocence

무죄 추정 원칙은 합당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무지에 의거한 논증이다. 즉, 정당한 혐의 이상의 유죄를 증명하지 못하면 무죄임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는 무죄를 유죄로 판결하는 것이 그 반대보다 더 큰 위험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권위에 의거한 논증

권위에 의거한 논증Argumentum ad verecundiam은 어떤 권위가 있는 사람의 주장을 근거로 삼아 주장할 경우 권위에 의거한 논증이라고 한다. 이 경우 그 권위가 그 주제와 관련이 있는지 없는지가 중요하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연예인이나 운동 선수, 유명인을 활용한 광고이다. 운동 선수가 운동 관련 물품의 장점을 열거하며 광고를 한다면 그건 합리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운동 선수가 자동차 광고를 한다면 그것은 권위에 의거한 논증이 될 것이다.

거짓 원인의 오류

거짓 원인의 오류fallacy of false cause는 실제 원인이 아닌 근거를 어떤 결론의 근거로 삼는 경우non causa pro causa를 의미한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속담과 일맥상통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 게임을 했기 때문에 성적이 떨어졌다.’ 는 주장은 옳을 수도 있으나, 단순히 그 사람이 공부에 관심을 두지 못한 것일 수도 있다.

유사한 오류로, 위험한 비탈길 논증slippery slope가 있다. 이는 어떤 행위로 인해 연쇄적인 현상이 일어나 최종적으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오류이다.

예를 들면, ‘정신과에서 처방하는 약은 마약성 성분이 있다. 이를 계속 처방받다 보면 약물 중독에 빠져, 계속 약물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때문에 우울증은 스스로 극복해야 하고, 정신과에 다니는 것은 좋지 않다.’ 라는 주장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환자의 증상을 꾸준히 관찰함에 따라 의사가 약의 투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주장은 진통제나 마취 관련 약에도 제기될 수 있으나, 마약성 진통제의 부작용이 두려워 응급한 환자를 수술하지 못하는 경우는 적을 것이다. 따라서 이 주장은 위험한 비탈길 논증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Hasty generalization은 우리가 특정한 집합에 속하는 한 요소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근거하여, 그 집합에 속하는 모든 사람이나 사물에 관한 결론을 이끌어 내는 종류의 오류이다.

예를 들자면 대부분의 경우의 집단에 대한 편견이나, 인종에 대한 편견, 국가에 대한 편견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로 인해 생겨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가정의 오류

가정의 오류Fallacies of presumption은 불분명한 가정으로 결론을 뒷받침하는, 부당한 비약이 포함된 논증이다. 이 오류에는 우연의 오류, 복합 질문의 오류,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가 있다.

Fig.10 Fallacies of presumption

우연의 오류

우연의 오류fallacy of accident는 특정한, 일반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일반적으로는 참인 명제를 사용하여 생길 수 있는 오류이다. 앞서 확인한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와는 정 반대의 오류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예를 들면 ‘인간은 이성적인 동물이다’라는 명제를 금치산자에 대해서 적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복합 질문의 오류

복합 질문complex question은 질문을 하는 문장 속에 교묘하게 어떤 명제를 참 또는 거짓이라고 전제하는 형태의 오류이다.

예를 들면,

'대학원생은 잘못된 선택을 한 사람들이라는 유머는 사실 학위를 부러워하는 사람들에 의한 의도된 유머가 아닐까?'

라는 질문 속에는,

'대학원생은 잘못된 선택을 한 사람들이라는 것은 유머'

라는 가정, 즉

'대학원생은 잘못된 선택을 하지 않았다'

는 가정이 암시되어 있다.

특히, 이런 복합 질문의 경우 여러 질문이 함축되어 있으므로, 그 질문의 일부만 참 또는 거짓이라고 대답할 경우 그 외의 질문은 전제된 대로 결론지어지는 오류 추리가 이끌어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질문에 대한 예시는 아래 지문처럼 생각해볼 수 있겠다.

A: 대학원생은 잘못된 선택을 한 사람들이라는 유머는 사실 학위를 부러워하는 사람들에 의한 의도된 유머가 아닐까?
B: 아니, 그냥 별 생각없이 지어진 유머가 아닐까?
A: 역시 대학원생들은 잘못된 선택을 하지 않았어.

때문에 이런 복합적인 질문은 알아채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답하는 것도 중요한 교묘한 오류라고 할 수 있겠다.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petitio principii는 논점을 해결하지 않은 채로 논점의 해결을 요구하는, 순환적인 오류이다. 순환 논리의 오류라고도 하고, 어떤 주장을 할 때 그 근거로 그 주장을 다시 하는 경우이기도 하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로는 아래 경우가 있겠다.

순환 논증는 유효하다. 왜냐하면 순환 논증은 유효하기 때문이다.

실제 사람들이 이렇게 단순하게 주장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어떤 주장의 근거를 그 대우로 삼는 경우가 있을 수 있거나, 수사학적 방법으로 문장을 꾸며 내어 같은 주장이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체셔 캣: 소용없어. 여긴 모두 미쳤으니까. 너도 미쳤고 나도 미쳤지.
앨리스: 내가 미쳤는지 어떻게 아는데?
체셔 캣: 틀림없어. 미치지 않았으면 여기 없을 테니까.

애매성의 오류

애매성의 오류Fallacies of ambiguity는 어떤 단어나 문장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 오류는 크게 다섯 가지, 애매어의 오류, 애매한 문장 구조에 의한 오류, 강조의 오류, 결합의 오류, 분해의 오류로 구분된다.

Fig.11 Fallacies of ambiguity

애매어의 오류

애매어의 오류Fallicy of equivocation은 여러 의미를 갖는 단어에 의해 생기는 오류이다. 특히 일상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들은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뜻을 갖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좋다”는 단어가 그렇다.

A는 좋은 사람이야. 그러니 좋은 직원으로서 이 달의 직원 상을 받아야 마땅해.

여기에서 “좋다”는 뜻은 인간 관계에서 다수와 원만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람일지, 업무 성과가 좋은 사람일지에 대해 애매어의 오류를 갖게 된다.

이런 일상 생활에서의 단어 외에도, “크다”, “작다” 등 상대적인 의미를 갖는 단어의 경우에도 애매어의 오류를 빚기 쉬운 단어들이다.

애매한 문장 구조에 의한 오류

애매한 문장 구조에 의한 오류Fallacy of amphiboly는 문장의 문법 구조로 인해 주장하는 바가 애매해진 전제에 의거한 논증에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을 수 있다.

대학원생은 교수보다 연구를 더 좋아한다.

이 문장은 “대학원생은 교수와 연구 둘 중에서 연구를 더 좋아한다.” 고 해석할 수도 있고, “대학원생과 교수 중 연구를 더 선호하는 쪽은 대학원생이다.” 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위 예시에서는 어느 쪽의 해석이더라도 “대학원생은 연구를 좋아한다.”는 의미를 가진 주장이나, 상황에 따라, 문법에 따라 어떤 주장은 완전히 상반된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강조의 오류

강조의 오류Fallacy of accent는 문장에서 어떤 일부분이 강조됨에 따라 도출되는 결론이 달라지는 경우를 말한다. 이 책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든다.

우리는 친구를 나쁘게 말해서는 안 된다.

평범하게 읽는다면 위 문장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우리는”에 강세를 두고 말한다면, 우리가 아닌 다른 사람들은 친구를 나쁘게 말해도 된다는 해석이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친구를”에 강세를 두고 말한다면, 친구가 아닌 다른 사람들은 나쁘게 말해도 된다는 해석이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문장의 일부만을 인용해서 생기는 오류도 있다.

나는 대학원 생활이 너무 행복하다는 학생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위 문장에서 “나는 대학원 생활이 너무 행복하다”만 잘라내어 인용한다면 원문의 의도와는 정반대로 왜곡하는 것이다.

결합의 오류

결합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은 전체에 속하는 일부분의 속성으로부터 전체의 속성을 잘못 추리하는 오류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다.

이 책은 가볍다. 그러므로 이 책장도 가벼울 것이다.

단순히 덧셈의 문제만이 아닌, 각 속성이 차지하는 전체의 속성을 알지 못해서 생기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다음 예시도 있다.

한 버스는 하나의 승용차보다 연료를 더 많이 소비한다. 그러므로 대한민국 전체의 버스는 대한민국 전체의 승용차보다 연료를 더 많이 소모할 것이다.

이 경우 대한민국 전체에서 버스와 승용차의 비율을 알지 못해 생기는 오류이다. 즉, 개별자와 그 개별자가 모인 전체의 속성은 단순 덧셈이나 예상으로부터 완전히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생기는 오류이다.

분해의 오류

분해의 오류Fallacy of division은 결합의 오류와는 반대로, 전체의 속성으로부터 개별자의 속성을 잘못 추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 예시가 있다.

포항공과대학교는 아주 우수한 연구 시설이다.
이인규는 포항공과대학교에 재학 중이다.
따라서 이인규는 아주 우수한 사람이다.

전체의 속성을 개별의 속성과 완전히 동일하다고 추리할 수는 없다.


참고문헌

1 Copi, I. M., 논리학 입문, 박만준, 윤진각, Transl., Seoul, S.Korea: 경문사, 2015.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