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해의 어부 감상: 단편문학의 관점의 한계에 관해
Fig.1 내해의 어부, 시공사
“바람의 열두 방향”에서 이어지는 어슐러 K. 르 귄의 단편선이다.
“바람의 열두 방향”처럼 흥미보다는 생각할 거리를 던져 주는 단편선이다. 예를 들면 인식론에 관해, 내가 인지하고 있는 것이 정말 사실인지, 내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이 정말 사실인지에 관해 다루는 단편, 부조리한 기존 질서에 저항하는 단편, 또는 마초적인 문화를 비판하고 여성주의적 주제를 담는 단편 등이 있다.
전작과는 달리 몽환적인 분위기보다는 정치적 메시지를 담는 데 주력했기 때문에, 이런 주제를 불편하게 여기거나 전작의 동화같은 단편선을 기대했던 사람들에게는 다소 아쉬울 수도 있겠다. 전작에서는 “어둠 상자”나 “샘레이의 목걸이”처럼 줄거리와 묘사가 환상적이고 신화를 연상케 하는 단편들이 있었으나, 이번 단편선은 다소 정치적 메시지에 주력한 작품이 많았다.
예를 들면 여성주의적 주제를 담은 단편인 “고르고니드와 한 최초의 접촉”의 줄거리는, 고압적인 남편과 여성적인 아내가 호주 관광 중 외계인을 조우하는 내용이다. 남편의 묘사는 그림으로 그려 낸 마초다. 작중 아내에게 계속 강압적으로 대하는 남편은 친구에게 과시하기 위해 원주민의 기록을 남기려는데, 마주한 것은 원주민이 아닌 외계인이었다. 외계인인 줄 모르고 원시인에게 춤을 추라는 등 요구하다가, 외계인이 가까이 다가오자 총을 꺼내고, 외계인은 그를 제압한다. 아내는 평화적으로 외계인과 첫 조우를 하며 유명 인사가 된다는 내용이다.
“뉴턴의 잠”이라는 단편은 이성과 비이성, 그리고 지구를 떠날 수 없는 인간들의 모습을 다루면서도, 동시에 위기 상황을 대피할 수 있던 특권층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 대해 가지는 죄의식에 대해 다루는 단편이다. 그 내용은, 다양한 오염과 질병으로 인해 지구에 살아갈 수 있는 지역이 줄어들자 소수의 건강한 분야별 식자층을 궤도 기지로 올려보낸, 우주 대피소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다. 그런 배경에서 인류의 생존자이자 한 가정의 아버지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감정적보단 이성적인 대응을 중요시하는 화자를 중심으로, 점점 대피소의 사람들이 지구의 환상을 보게 되면서 일어나는 혼란에 대해 다루는 내용이다.
다만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독자를 설득하기에는 단편소설이라는 형식은 다소 한계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논설문, 글쓴이의 생각을 독자에게 설득하는 글의 요소와, 단편소설, 짧은 길이에서 독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는 문학의 요소가 서로 어울리기 힘들다는 생각이다.
aa에 의하면 잘 쓴 논설문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 그 예시로는 J. S. 밀의 “자유론”이 있다. 자유론은…
(에드거 앨런 포의 ““에 의하면 잘 쓴 단편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그 예시로는 bb, cc, dd…가 있다. 각각은 …)
(이러한 글들에 반해, “내해의 어부”의 단편은 정치적 메시지를 주로 담았으나 그 내용을 설득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Leave a comment